728x90
오브젝트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기(USE. 코루틴) 오브젝트 원하는 위치로 천천히이동시키기 화살표 버튼을 눌렀을 때 왼쪽버튼을 누르면 왼쪽으로 이동하고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코드를 만들려고 한다 맨처음에 이 문제로 엄청 애를 먹었다.. 코드 대로 라면 정상적으로 이동이 되어야하는데 내가 원하는대로 구현이 되지 않아서 의문이였는데 유니티에서 보통 오브젝트를 움직이거나 서서히 변화를 주기 위해서 프레임 단위마다 실행되는 Update() 함수에 코드를 작성한다고 한다. 그래서 대부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에 대한 정보를 찾으면 대부분 Update()안에서 코드를 사용하는것을 볼 수있다. Update는 프레임마다 실행되는 만큼 대부분의 작업을 의존하게되면 프레임 드롭같이 최적화 문제가 발생하..
스페이스바(Space Bar)를 사용해 하이어라키(Hierarchy)오브젝트 활성화 1. 단축키 관리자 열기 단축키 관리자에서 키보드 단축키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단축키는 Unity 커맨드에 바인딩된 키 또는 키 조합입니다. 커맨드는 에디터에서 실행되는 동작입니다. 예를 들어 R 키는 씬 뷰에서 Scale 툴을 활성화하는 커맨드에 바인딩되어 있습니다. 단축키 관리자는 Unity의 메인 메뉴에서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Windows 및 Linux에서 Edit > Shortcuts를 선택한다. macOS에서 Unity > Shortcuts를 선택한다. 출처: https://docs.unity3d.com/kr/2020.3/Manual/UnityHotkeys.html 원래 오브젝트를 활성화 하는 단축..
유니티 버전 업데이트시 패키지매니저 에러 해결 혹시 모르닌까 파일 압축 해두고 하자.. Error searching for packages. 파일 압축을 풀었는데 갑자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해서 검색해봤더니 다음과 같은 방법을 추천해 주었다. 방법 1) 방법 2) 나 같은 경우는 이 방법으로 해결하였는데 유니티 패키지 매니저 안에 보면 설치되어있어야할 파일들이 설치가 안되어 있는 경우 였다. Window - PackageManager 필요한 패키지를 다운 받으니 해당 오류가 사라졌다.. 무슨 이유인지 모르겠는데 로그인이 해제 되어있는 경우 때문에 이런 버그가 생긴거 같음;;; 한번씩 강제로 로그아웃되어있는 신기한 현상 다른 버그도 있어서 함께 올려봄... Eerro : The type or names..
유니버설 렌더 파이프라인(URP) 프로젝트 변경하기 URP 패키지 다운 받기 기본적으로 맨처음에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URP 모드로 만드는 방법도 있으나 기존의 프로젝트에서 URP로 변경하고 싶을 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변경하면된다. Window-PackageManager 에 들어가서 PackageManager에서 Unity Registry에서 rp라고 검색하면 다음과 같이 Universal RP를 Install해준다. 프로젝트 업그레이드 시키기 Install하고 나면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 시켜주어야한다 프로젝트를 업그레이드 시키기 위해서는 [ Edite - Project Setting - Grapics ] 로 들어간다 Scriptable Render Pipeline Settings 가 비어있는 것을 ..
InputField 모바일 패드 안보이게 하기 버튼을 만들어서 해당 버튼을 눌렀을 때, InputField안에 해당 버튼안에 있는 글씨가 입력되는 것을 만드는데 Window형식에서는 상관없었으나 Android형식으로 변환해서 플레이 했을 때 InputField에 입력되면서 모바일 키패드가 자동으로 활성화 되어 플레이하는데 불편함이 있어서 키패드를 안보이게 해야하는 상황이 왔다 이럴 경우 InputField 인스펙터 창안에서 HideMoblie Input을 활성화 시켜주면 모바일에서도 키패드가 활성화 안되는 것을 알 수있다.
전략패턴이란? 게임을 제작할 때 , 무기에 따라서 캐릭터의 모션이나 사운드, 방식을 동시에 변경하는 게임을 만든다고 가정했을 때 전략패턴을 모를 경우에는 , 각 경우에 따라서 Switch 문을 이용해서 바꾸어 주는 방식으로 대부분 구현을 하는데 이런 방식은 작은 프로젝트에서는 사용하기 좋은 방식이나 스케일이 큰 프로젝트 안에서는 코드가 늘어나면서 실수로 빠지거나 작성하지 않아서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출처 : https://www.youtube.com/watch?v=63miHKtooo4&ab_channel=%EC%98%A4%EB%8A%98%EC%BD%94%EB%94%A9 (예시) [스크립트] 공통으로 사용하는 부모 클래스 GunWeapon 더보기 using System.Collections..
움직이는 이미지를 UI상에서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미지를 스프라이트 시트로 만들어 주어야한다. 원래는 이미지 스프라이트를 애니메이션 클립으로 만들어서 루프 시키다가 너무 비효율적인거 같아서 방법을 찾다가 다음 방법으로 쉽게 만들 수 있어서 작성해보았다. 1. 움직이는 이미지 스프라이트 시트로 만들기 아래 사이트를 이용하면 움직이는 이미지를 스프라이트 형식으로 변형이 가능하다 https://ezgif.com/ Animated GIF editor and GIF maker Easy to use online animated GIF maker and image editor. Upload and edit GIF images for free. Create, crop, resize, reverse, optimize an..
유니티 개발을 하다 보면 인스펙터 창이 정리가 안되거나 구분이 잘 되어 있지않아서 헷갈리는 경우가 생기게 된다. 이번에는 그럴 때 사용하는 인스펙터 간의 간격을 늘여주거나 하나의 그룹으로 만들어서 정리 하는 방법을 정리 하려고 한다. Header(타이틀 달기) 사용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사용 하면된다. [Header("원하는 이름")] 을 작성하면 다음과 같이 어떠한 이유로 선언 되었는지 쉽게 확인 할 수 있도록 제목이 붙은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Space(인스펙터 간의 간격 주기) Header를 사용하더라도 선언된 속성을 확인 하기 힘든데 스크립트 안에서 Enter로 간격을 준다고 해도 인스펙터 안에서는 Enter 유무에 관계없이 다닥다닥 붙어서 작성되기 때문이다 이럴때 Space 속성을 사용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