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 메모리 한자리 마다 하나씩 저장한다. - 각 문자에서 순서 번호가 부여 되어 있다. - 부여된 순서 번호(인덱스)로 각 문자에 접근 가능하다. - 인덱스로 음수를 입력하면 문자열 끝에서 부터 문자에 접근한다. - 0에서 시작하고 한번 지정된 문자열은 더이상 바꿀수 없다. - 인덱스를 이용한 일부분 변경을 허용하지 않는다. //슬라이싱 기능을 이용하여 바꾸어야한다. - 문자열의 일부를 읽어 올 수 있다. 변수 명[n,m] n번째부터 m번째 사이의 부분, n은 포함하고,m은 뺀 부분을 지정 결과적으로 (m-n)길이의 문자(열) 생성 (예)name = "jisu Park" name[5: ] //5번째 인덱스 부터 끝에 해당하는 범위까지 출력 >>>'Park' - 슬라이싱의 범위를 지정하는 n,m은 문자열의..
//문자열//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함 1. 큰 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예) "Hello World" 2. 작은 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예) 'Hello World'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예)"""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4. 작은 따옴표 3개를 연속ㅇ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예)'''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5. ' +' 연산자를 두 문자(열) 사이에 사용하여 둘을 연결한다. (예)“문자(열)” + “문자(열)” + … + “문자(열)” 6. 수와 문자열의 결합 1. 숫자와 문자열을 연결하려면, 숫자를 문자열 형식으로 변환시켜주어야한다. (예) day =5 p..
//주석//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 하는 일을 설명하고 갇독성을 위해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프로그매의 실행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 줄 주석 처리 : # 여러 줄 주석 : ''' ~ ''' 주석 설정 : 주석 처리 부분을 범위 지정후, [Ctrl +/] 주석 해제 : 해제 할 부분 범위 지정, [Ctrl +/] //변수//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값들은 저장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해두는 메모리 안의 영역 ->프로그램의 내에서 값을 저장하는 장소이다. 변수를 선언하는 것은? -> 값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 받는 작업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여주는 작업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언이 우선이 되어야한다. cf) 파이썬은 변수를 선언 하지 않아도..
//Python// - 변수를 미리 선언 하지 않아도 된다. ->긴 코드를 사용할 때, 사용 - 변수는 값이 저장될 때, 변수의 자료형이 결정된다. 그래서 선언시 자료형을 따로 지정하지 않는다. (예제 코드) import keyword print(keyword.kwlist) length = len(keyword.kwlist) print(length) //파이썬의 특징// os(운영체제)에 관게없이 한번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모든 플랫폼에서 소스코드를 바로 실행 할 수 있게 지원하는 프로그램 언어이다. . 1. 인간다운 언어 -> 사람이 생각하는 방식을 그대로 표현이 가능한 언어이다. 2. 문법이 쉬워 빠르게 배울 수 있음 3. 간결하다 -> 다른사람이 작업한 소스 코드도 한눈에 들어와 이해하기 쉬워, 공동..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struct myData { myData(int d) { data = d; } int data; bool operator data; } }; void main() { //삭제 map data; { myData* a = new myData(5); data[a] = 10; } map ::iterator itr = data.begin(); data.erase(itr); delete itr->first; }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struct myData { myData(int d) { data = d; } int data; bool operator data; } }; void main() { listdatas; datas.push_back(myData(5)); datas.push_back(myData(20)); datas.push_back(myData(15)); datas.push_back(myData(1)); //순서대로 받아 오도록 해줌 data..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main() { map myMap; //배열처럼 사용하면 덮어쓰기가 가능하다 myMap[0] = "abc"; myMap[2] = "ㅅㅂㄴ"; myMap[10] = "qwer"; //덮어쓰기 금지 myMap.insert(pair(5, "가나다")); map ::iterator iterFind = myMap.find(2); if (iterFind != myMap.end()) { cout second.c_str(); } cout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main() { listmyList; myList.push_back("abcd"); myList.push_back("아카데미"); myList.push_back("홍길동"); list::iterator iter = myList.begin(); while (iter != myList.end()) { string t = *iter; cout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void main() { listmyList; myList.push_back(50); myList.push_front(300); myList.push_back(200); myList.push_back(150); list::iterator iter = myList.begin(); while (iter != myList.end()) { int out = *iter; cout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