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진트리와 재귀함수를 사용해서 이런식으로동물이름과 특징을 받아서맞으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틀리면 그 동물이름과 특징을 받아서 다시 물어보는프로그램을 짜는 것입니다. 그리고 a를 눌렀을때 출력까지! 일단 Question이라는 구조체를 만들어줍니다.반복적으로 동물의 이름과 특징, 그리고 이중트리를 만들기위해맞으면 nYes로 아니면 nNo를 가르키는 포인터를 생성해줘야합니다.그리고 루트(머리)를 가르키는 곳을 표시해줘야합니다.->Question* head; 일단 메인으로 가서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서 배열을 만들어줍니다.그다음에 계속 반복하기위해서 while문을 만들어줘야 루프가 계속 돌아가겠죠? 일단은 처음에 헤드를 고정하기위해서head가 NULL일때를 만들어줍니다.처음시작할때는 아무것도 없으니 동물이름과 ..
연결리스트란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를 말한다. *각각의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노드라함*노드의 포인터가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들과 연결을 담당함(마치 기차 처럼 한줄로 이어질수 있게 하는 것) 일단 연결리스트를 만들기 위해서는노드가 필요하고 노드안에 들어갈 데이터와 각 노드를 연결 시킬 포인터가 필요하다.int value는 데이터의 값을 넣기 위해 만들었고Data *pNext는 포인터를 의미한다. 이걸 그림으로 그려보면 이런식으로 그릴수 있다.네모난 상자 하나가 노드를 의미하고 빨간 부분이 데이터가 들어가는곳화살표가 포인터를 의미한다.이런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연결리스트라고 한다.마지막 노드에 /은 NULL이라는 의미..
기본적으로 스택이란 자료 구조의 하나로서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선형 목록을 말한다.스택의 삽입 삭제가 일어나는 곳을 Top이라 하고스택을 꺼낼 때를 Pop이라하고, 넣을 때를 Push라고 부른다.스택은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먼저 나오기 때문에 후입선출이라고도 한다. 5 ~ 8줄까지는 기본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변수를초기화 시켜 놓은 것이다. Pos는 스택이 가리키는 위치를 알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위의 그림은 pos의 위치가 어떤 식으로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 그린 것*Pos가 증가 할 수록 다음 배열을 가르키게 코드를 구현해야한다.한마디로 Pos는 top과 같은 의미로 삽입과 삭제가 되는 부분을 알기위해서 만든것이다. 13 ~ 33 줄은 While문으로 종료를 하..
//C# 프로그래밍 언어// C#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된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Java"나 "C++"와 비슷한 면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 - C#는 .NET Framework를 이용하여 프로그래밍하는 대표적인 언어 - .NET Framework 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기 위한 용어의 대표적인 언어 //닷넷 프레임워크라는 실행 환경과 조화되어 움직인다. - 윈도우 프로그래밍, 웹프로그래밍, 게임 및 모바일 프로그래밍 등 모든 영역에서 사용되는 범용 프로그래밍 언어 *.NET Framework(닷넷 프레임워크) : .NET의 개념에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및 실행 하기 위해 준비된 플랫폼이다.* //C#의 특징//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기능을 그룹화 하고 , 조합하여 프로그램을 작..
콘솔 어플리케이션_ 특정 유저 인터페이스가 없다 ->기본 코딩할 때는 콘솔 어플리케이션으로 실행할 것 윈도 폼 어플리케이션 - 유저들이 사용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드려고 주로 사용하는 작업창 hollow C#- cs파일이 C#파일을 의미한다. main함수가 시작되면서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된다 using 키워드 : 우리가 사용하고 싶은 툴들을 사용하기 위해서 지정해 주는 것이다. 커다란 시스템의 보따리 같은 것. "system.collection.generic"->시스템안에 있는 툴을 사용하겠다는 의미를 가진다. namespace 키워드는 보따리를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main함수는 모든 프로그램이 시작할때 , 콘솔어플리케이션이 사작할 때, 항상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이다. 하나 밖에 존재하지 않는다. ma..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