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번 포스트는 이진트리와 재귀함수를 사용해서 이런식으로 동물이름과 특징을 받아서 맞으면 처음으로 돌아가고, 틀리면 그 동물이름과 특징을 받아서 다시 물어보는 프로그램을 짜는 것입니다. 그리고 a를 눌렀을때 출력까지! 일단 Question이라는 구조체를 만들어줍니다. 반복적으로 동물의 이름과 특징, 그리고 이중트리를 만들기위해 맞으면 nYes로 아니면 nNo를 가르키는 포인터를 생성해줘야합니다. 그리고 루트(머리)를 가르키는 곳을 표시해줘야합니다. ->Question* head; 일단 메인으로 가서 문자를 입력 받기 위해서 배열을 만들어줍니다. 그다음에 계속 반복하기위해서 while문을 만들어줘야 루프가 계속 돌아가겠죠? 일단은 처음에 헤드를 고정하기위해서 head가 NULL일때를 만들어줍니다. 처음시작할..
포인터를 이용해서 연결리스트 구현하기 연결리스트란 각 노드가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한줄로 연결되어 있는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자료 구조를 말한다. *각각의 데이터와 포인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노드라함 *노드의 포인터가 다음이나 이전의 노드들과 연결을 담당함 (마치 기차 처럼 한줄로 이어질수 있게 하는 것) 일단 연결리스트를 만들기 위해서는 노드가 필요하고 노드안에 들어갈 데이터와 각 노드를 연결 시킬 포인터가 필요하다. int value는 데이터의 값을 넣기 위해 만들었고 Data *pNext는 포인터를 의미한다. 이걸 그림으로 그려보면 이런식으로 그릴수 있다. 네모난 상자 하나가 노드를 의미하고 빨간 부분이 데이터가 들어가는곳 화살표가 포인터를 의미한다. 이런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연결..
스택의 데이터 입력과 출력 구현하기 기본적으로 스택이란 자료 구조의 하나로서 자료의 삽입과 삭제가 한쪽 끝에서만 일어나는 선형 목록을 말한다. 스택의 삽입 삭제가 일어나는 곳을 Top이라 하고 스택을 꺼낼 때를 Pop이라하고, 넣을 때를 Push라고 부른다. 스택은 나중에 들어간 자료가 먼저 나오기 때문에 후입선출이라고도 한다. 5 ~ 8줄까지는 기본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사용된 변수를 초기화 시켜 놓은 것이다. Pos는 스택이 가리키는 위치를 알기 위해서 만들어 놓은 것이다. *위의 그림은 pos의 위치가 어떤 식으로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서 그린 것* Pos가 증가 할 수록 다음 배열을 가르키게 코드를 구현해야한다. 한마디로 Pos는 top과 같은 의미로 삽입과 삭제가 되는 부분을 알기위해서 만든것이다...
첫 프로젝트 설정 인터페이스 화면 각종 도구 창과 레이어창 ctrl +a 또는 드래그 앤 드롭 ctrl + T 이미지 사이즈 조절 (사이즈 조절 테두리가 보임) Shift를 사용해서 사이즈를 조절해주면 비율에 맞게 사이즈를 줄이고 늘 일 수 있음 변경을 원하는 레이어를 클릭해주면 화면에 변경가능하도록 선택이된다 텍스트를 선택한 후 상단의 폰트와 컬러를 조절 하면 쉽게 텍스트를 변경 가능
맨 처음에 영상을 준비합니다 영상은 아무 것이나 준비 해는 할 수 없고 하나는 아무 것도 없는 배경을 가진 영상하나와 같은 배경을 가지고 있는데 사람이 등장하거나 무엇인가 다른 특징이 생기는 영상 하나 이렇게 두개를 준비 해야합니다 저는 위와 같이 처음에는 등대만 있고 후반에 코끼리가 등장하는 영상을 가져왔는데요 저는 저 코끼리가 영상의 가운데 에서만 나오고 가운데를 벗어나면 사라지게 하는 것을 만들려고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프로젝트 파라미터에 영상 두개를 넣어주고 제일 위에 있는 영상을 1번이라하고 나머지 영상을 2번이라 하겠습니다. 그런 다음 2번의 영상에 오른 쪽 마우스를 클릭해 [Frame Hold Options]를 해줍니다 * [Frame Hold Options]은 영..
하나의 영상에 Color Balance(RGB)를 적용 시켜줍니다 [ Color Balance(RGB) ]속성 그리고 영상을 3개를 시퀀스 안에 넣어 줍니다 각 영상의 Color Balance 값을 R, G ,B [100,0,0] R, G ,B [0,100,0] R, G ,B [0,0,100] 각각의 설정해 주면 제일 위에 있는 영상의 색이 R이기 때문에 영상에는 빨갛게 보입니다 각각의 영상에 속성을 변경했을 때 Blend Mode 를 Screen으로 설정해준다 Screen으로 설정해주면 설정한 영상의 아래 영상과 색이 합쳐진다 빨강과 파랑이 합쳐져 분홍색이 화면에 나온다 모든 영상에 Screen을 적용시키고 스케일을 조금 씩 변화 시켜주면 다음과 같이 영상이 바뀐다 각 영상의 스케일 조절 ..
Ultra Key 그린스크린(크로마키)영상을 다른 영상에 합성 [투명하게 하고싶은 영상에 적용 시킨다] 일반 영상 위에 크로마키 영상을 올림 Key Color : 투명하게 바꾸고 싶은 색을 지정 한다 * 스포이드로 선택 * Find Edge 이미지의 경계만 살림 색과 색의 경계에 있는 선이 나타나는 효과 * 만화 또는 그림같은 효과를 줄 수 있음 * Blend With Original 원본 영상 효과의 블렌딩을 해줌 Blend With Original 87%를 주었을 때 원본 영상의 초점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초점이 명확해야 경게면이 진하게 나타난다 Mask Path 영상을 불러와 [ Effect -Mosaic ]효과를 적용 시킨다 [ Effect -Mosaic ]효과 적..
Leagacy Tool File -> New -> Legacy Title ( New Item 에도 Title 존재 ) 글자가 위와 같이 나오는 경우, 한글 폰트가 아니라서 안나옴 Legacy Title properties의 기능을 사용해 폰트패밀리(종류), 폰트스타일(두께), 폰트사이즈(크기), 트래킹(자간), 필(채우는 색), 스트로크(외,내각선), 쉐도우(그림자), 그림자[스프레드가 커지면 사이즈 값을 조절가능] 다양한 자막을 만들 수 있음 Center은 상하 좌우 중간 값을 잡아준다 위와 같은 이미지에서 도형을 넣으면 자막이 도형에 의해 가려진다 레이어와 같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먼저 만들어진 자막위에 도형이 덮어 씌워지는 것이다. 이럴때 도형을 클릭하고 오른 쪽 마우스를..
Color Correct 색상 교정 [ Effect ] 창에서 RGB 검색 rgb 검색 시 두 종류가 나오는데 [ RGB Color Corrector ] 와 [ RGB Curves ] 둘 다 색상의 R, G, B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RGB Color Corrector RGB Curves //대부분 [ RGB Curves ]를 선호하는 듯하다 그래프를 조절하여 색감의 조절을 한다 [ Window -Lumetri Scopes] [ RGB Curves ]의 그래프에 변화를 주었을 때 Blue를 높이고 Red를 낮췄을 때 Lumetri Scopes의 변화와 화면 색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프의 상단은 하이라이트 중단은 미드 톤 하단은 쉐도우를 담당 [RGB -Master]는 R..
Warp Stabilizer : 적용하고 기다리면 영상이 최대한 깨끗하게 만들어 주고 안정화 되도록 도와준다. [프레임 별 영상을 회전이나 스케일을 프리미어가 자동으로 조절하여 화면을 맞춰줌] //영상의 흔들림을 안정화 시키기 위해서 사용된다 Crop : 영상을 잘라 낼 때 사용한다. ▲ crop 속성 ▲ [crop]을 사용하여 영상을 자름 안의 기능을 사용하면 잘라진 화면의 크기가 프레임에 맞게 확대가 된다 ▲ [Crop- Zoom]을 사용했을 때 단, 비율이 맞지 않으면 화면이 찌그러져 확장된다 의 정도를 조절하게되면 아래 사진 처럼 이미지의 경계선의 선명도를 조절 할수 있다 ▲ [Edge Feather] 사용 Tint 어두운 부분의 색과 밝은 부분의 색을 바꿀수 있다 Tint 속성..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