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깃허브 GitHub] 깃 & 깃허브 환경 설정하기

깃허브(GIT HUB)를 사용하기 위해서

1. Git hub에 가입하기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서 회원 가입을 해줍니다.

https://github.com/

회원가입을 하고 로그인을하면 오른쪽 이미지 처럼

깃허브가 생성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etc-image-0etc-image-1
아이디 생성하기

이제 깃허브를 사용하기 위해서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어 줍니다

2. 저장소 만들기

etc-image-2etc-image-3

[New]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저장소에 대한 정보를 설정 할 수 있습니다.

Repository name은 저장소의 이름을 정해줍니다.

etc-image-4

Description (optional) : 설명(선택사항)

public 과 private 설정은 다음 저장소를 다른 사람들에게

비공개로 지정할 것 인지 공개로 지정할 것 인지 선택 할 수 있습니다.

Readme File은 간단하게 다른사람에게 이 저장소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소개글이을 적은 곳이라고 생각하시면됩니다.

아래의 Readme를 추가하는 버튼을 체크하면 Readme가 자동으로 추가되어 파일이 생성됩니다.

etc-image-5

모든 설정을 다하고 Create repository를 눌러 저장소를 만들 수 있습니다

3. 깃 설치하기

https://git-scm.com/

깃허브를 사용하기 위해서

맨처음 다음 사이트에서 깃을 다운받아 줍니다.

etc-image-6etc-image-7

그런 다음

검색에서 Git Bash를 찾아서 실행 시켜줍니다.

etc-image-8

깃허브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Git Bash 에서 환경설정 해주어야 합니다. 

Git Bash 안에 다음과 같이 설정을 해줍니다.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가 사용할 이름 "

#가입시 사용한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가입시 사용한 이메일"

 

etc-image-9

 을 입력해주면 환경설정이 완료 됩니다!

 

환경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git config --list를 입력해주면

 

아래에 user.name과 user.email이 잘 입력 되어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참고: https://velog.io/@minukiki/GitHub-%EC%82%AC%EC%9A%A9%EB%B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