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니티 6의 웹 플랫폼 업데이트 내역
-
유니티 6의 웹 플랫폼지원 명칭이 기존의 ' 웹GL'에서 '웹'으로 변경되었다.
-
아이콘에 ' HTML5'로 표현되어 있어 혼란이 있을 수 있으며, '웹GPU' 등 새로운 요소가 추가될 예정이다.
-
영상에서는 새로운 명칭인 '유니티 웹'이나 '웹 타겟'을 사용할 것이다.
-
유니티 6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변경 사항은 모바일 브라우저에 대한 공식 지원시작이다.
📱 유니티 6의 모바일 브라우저 지원 변화
-
유니티는 기존에 모바일 브라우저를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았다.
-
유니티 2021 버전까지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실행 시 경고 대화 상자가 표시되었다.
-
유니티 2022부터는 경고가 사라졌지만, 여전히 공식 지원은 없었다.
-
그러나 유니티 6부터는 모바일 브라우저를 정식으로 지원하도록 변경되었다.
-
지원되는 요구 사양은 iOS는 사파리 15 이상, 안드로이드는 크롬 58 이상이다.
🌐 유니티 6의 웹GPU 기능 및 제약 사항
-
유니티 6에서는 기존의 웹에 웹GPU 엔드를 추가하여, 실험적이지만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
웹GPU를 통해 컴퓨트 쉐이더 및 고급 GPU 기능에 접근할 수 있으며, VFX 그래프와 같은 유니티의 GPU 기능도 활용 가능하다.
-
URP의 경우, 기존 웹에서 지원되지 않았던 URP 디퍼드 렌더러가 웹GPU에 적용 가능해졌고, 포워드 플러스 랜더러도 사용할 수 있다.
-
현재 크롬과 엣지 브라우저가 공식적으로 웹GPU를 지원하며, 모바일 크롬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한다.
-
그러나 HDRP와 CS 스레드는 여전히 사용할 수 없고, C# 스크립트 내에서의 멀티스레딩 문제는 아직 해결되지 않았다.
🌐 유니티 6 콘텐츠 웹 업로드 팁
-
유니티 6로 빌드한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업로드할 때, 빌드 크기를 최소화하는 것이 로딩 시간을 줄이는 데 중요하다.
-
퍼블리싱 설정에서 압축 방식을 Brotli로 선택하면 Gzip보다 더 높은 압축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웹 서버에서 Brotli 지원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
코드 최적화를 위해 다양한 설정을 하이로 조정하고, cpp 코드 생성을 패스터 스몰러 빌드로 설정하면 도움이 된다.
-
소규모 샘플 프로젝트에서 Brotli 압축으로 인해 크기가 15MB에서 9MB로 줄어들었으며, 이는 상당한 효과를 나타낸다.
-
유니티 플레이는 가장 쉽게 사용 가능하며, 빌드 앤 퍼블리시 버튼을 통해 자동으로 업로드가 진행된다.
-
유니티 6로 빌드한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업로드할 때, 빌드 크기를 최대한 작게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
코드 최적화옵션에서 LTO를 선택하면 디스크 사이즈를 줄일 수 있지만, 빌드 시간이 늘어날 위험이 있다.
-
압축 방식으로는 Gzip 대신 Brotli를 선택하면 압축률이 높아지지만, 해당 웹서버가 Brotli를 지원해야 한다.
-
브로틀리 압축을 사용할 수 없는 경우, 디프레션 폴을 켜고 적절한 코드를 내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
샘플 프로젝트에서 브로틀리 압축적용 후, 초기 15MB에서 최종 9MB로 줄어드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이 효과는 더욱 커질 것으로 추정된다.
-
기본 설정 후, 기터 페이지에서는 브로틀리 압축을 지원하지 않아 압축 해제 백이 필요하다.
-
이치 아이에서는 특별한 설정 없이 zip 파일로 압축해 업로드하면 되며, 이 과정이 간편하다.
-
유니티 플레이는 유니티 표준 웹지엘 퍼블리셔 패키지를 통해 자동화된 서비스로, 빌드 앤 퍼블리시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업로드가 진행된다.
-
유니티 룸은 파일 구성이 미리 정해져 있어 zip 압축 포맷을 사용해야 하고, 압축 해제 배경도 필요하다.
-
모든 서비스에서 웹 GPU를 이용한 빌드가 문제없이 실행될 수 있으며, 압축 관련 조정이 약간 필요할 수 있다.
🌐 유니티 6의 웹 플랫폼 기능
-
유니티 6의 새로운 기능을 활용하여 웹 콘텐츠 개발이 가능하다.
-
유니티의 웹 플랫폼은 과거에 잘 사용하지 않았던 기능으로, 그래픽 관련 기능 제약이 존재했으나 현재는 개선되었다.
-
이제는 웹 GPU 지원 덕분에 사용 가능성이 크게 확대되었다.
-
모바일에서의 구동 가능성은 유니티 웹의 매력적인 점 중 하나로, 많은 사람들에게 외부 제작물을 경험할 수 있는 최적의 플랫폼으로 여겨진다.
-
유니티 6로 유니티 웹을 활용하면 더욱 쉬운 개발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들에게 적극적인 활용이 권장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