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티 Unity] 깃허브(github)에 유니티 프로젝트 올리기

 

 

유니티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깃허브를 이용하여 유니티의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방법을 작성 해보려고 한다.

 

 


 

1. 깃허브 가입하기

 

 

 

다음 깃허브 사이트에 들어가서 

깃허브(github) 아이디를 생성해주어야한다

 

 

https://github.com/

 

GitHub: Let’s build from here

GitHub is where over 94 million developers shape the future of software, together. Contribute to the open source community, manage your Git repositories, review code like a pro, track bugs and feat...

github.com

 

 

가입이 끝나고 깃허브에 로그인 하면 

화면의 우측 상단위에 자신의 아이콘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선택 할 수 있는 창이 뜬다

 

 

etc-image-0

 

여기에서 Your proFile 을 누르면 나의 계정의 전체적인 부분을 볼 수 있다

 

 

2. 깃허브에서 새로운 리포지토리 생성하기 

 

 

 

 [Your proFile] 에서 [ Repositories]를 선택하면 내가 가지고 있는 리포지토리의 목록을 확인 할 수 있다.

 

etc-image-1

 

[ New] 버튼을 눌러 새로운 리포지토리를 생성해준다.

 

etc-image-2

 

 

[ Repository name ] 에 리포지토리의 이름과

[Description]안에 해당 리포지토리에 대한 설명을 적어준다.

 

 

[ Public ] [ Private ] 리포지토리의 공개여부를 선택하는 것으로

[ Public ]은 모든 사람들이 사용 할 수 있고 접근 할 수 있는 리포지토리이고 

[ Private ]를 할 경우 자신만이 볼 수 있는 리포지토리이다.

 

 

 

다음으로 

etc-image-3

Add a ReadmeFile 를 체크 한다.

이 두가지는 리포지토리를 생성할 때 프로젝트에 대한 정보를 담을 문서를

생성할 것 인지에 대한 것으로 체크를 해주는게 좋다

 

 

etc-image-4

. gitignore 설정하기 

 

깃에 업로드 되는 파일 중에서 무시할 파일을 설정해주는 것으로

다음과 같이 Unity를 선택하여 넣어준다.

 

이것은  Unity 안에서 업데이트 하지 않아도 되는 파일들을 지정해 자동으로 설정해 준다

 

 

그리고 

 

 

→Create repository 버튼을 눌려주면

 

etc-image-5

 

리포지토리 생성완료!

 

3. 유니티 프로젝트 깃허브에 올리기

 

웹사이트에서 프로젝트를 한번에 올릴 수 있으나 

사이트에서 한번에 올릴 수 있는 갯수가 100개 제한이므로 

 

 

깃허브 데스크탑을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받는다.

 

https://desktop.github.com/

 

GitHub Desktop

Simple collaboration from your desktop

desktop.github.com

 

 

깃허브 데스크탑을 다운받고 실행을 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하라는 말이 나온다

 

 

etc-image-6

 

로그인을 하고나면

 

Clone a repository 를 눌러 위에서 생성한 리포지토리 경로를 설정해준다.

 

etc-image-7etc-image-8
Clone a repository 생성완료

 

 

4. 깃허브 데스크 탑에 유니티 프로젝트 넣어주기

 

기존에 가지고 있거나

깃허브에 올리려고하는 유니티 프로젝트 파일을 생성해 준다

 

그리고 Show in Explorer로 Local리포지토리를열어 준다

etc-image-9
Show in Explorer

 

etc-image-10
Local리포지토리

 

 

 

이제 유니티 프로젝트 파일을 Local 리포지토리안에 넣어주면

깃허브 데스크탑에서 변경된 사항이 나오는걸 확인 할 수 있다

 

 

etc-image-11

 

Summary에 어떤 내용의 파일인지 이름을적어주고

Commit 버튼을 누르고 커밋이 완료되면

 

etc-image-12

 

Push origin 버튼을 눌러 업로드하면

github에도 변경된 것을 확인 할 수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