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ING📚/🔖Unity3D
Unity Web Stripping Tool - 초보자용 정리 가이드
__윤하루__
2025. 7. 8. 10:18
Web Stripping Tool이 하는 일
WebGL로 빌드한 뒤 .wasm
파일에서 사용하지 않는 하위 모듈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2D Renderer
중 타일맵만 사용하지 않을 경우, 해당 기능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 (순서대로 진행)
1. WebGL로 빌드하기
- Build Settings에서 플랫폼을 WebGL로 설정합니다.
- Player Settings에서 Debug Symbol을 External 또는 None으로 설정해줍니다.
- 이때
Strip Automatically After Build
는 비활성화해야 profiling이 가능합니다.
2. Add Profiling
- Web Stripping Tool 창에서
Add Profiling
버튼을 클릭하여 프로파일링 기능을 활성화합니다.빌드 폴더나 백업 폴더를 확인 할 수 있음
3. Run (실행)
Run
버튼을 클릭해 WebGL 빌드를 실행합니다.- 실제로 버튼을 누르거나 씬을 전환하는 등 기능을 충분히 실행해야 profiling 데이터가 생성됩니다.
4. Download report
- 실행을 마치고 WebGL 플레이어를 종료하면
Download report
버튼이 활성화됩니다. - 버튼을 클릭하면
.json
형식의 리포트 파일이 다운로드됩니다.
5. Import Profiling Data
- 앞서 받은
.json
리포트 파일을 다시 Web Stripping Tool에 Import 합니다. - 그러면 사용되지 않은 모듈들이 리스트업 됩니다.
6. Strip
- 제거할 모듈을 선택하고 Strip을 실행합니다.
Remove Embedded Debug Symbols
옵션을 활성화하면 용량이 더 줄어듭니다.
7. Validate Stripping
- 빌드를 다시 실행하여 기능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합니다.
- 기능이 누락되지 않았는지 반드시 체크합니다.
참고 및 팁
Strip Automatically After Build
옵션은 리포트 생성 전에 코드를 제거하므로 꺼두세요.- Debug Symbol 설정이
Embedded
인 경우 리포트가 제대로 생성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json
리포트 파일은Library/SubmoduleStripping/
경로 아래 생성됩니다.
이 과정을 통해 최적화된 WebGL 빌드를 만들 수 있으며, 프로젝트 로딩 속도 및 전송 성능 개선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됩니다.